top of page
  • Writer's pictureamber lee

보고서 리뷰:Global Perspectives on Threat Intelligence_Mandiant


Global Perspectives on Threat Intelligence라는 보고서가 최근에 발표되었습니다. 이 보고서를 리뷰하면서 인텔리전스 대한 중요성도 한번 짚어보겠습니다. ​ (*해당 게시물은 Mandiant의 실제 발표 세션을 요약한 내용입니다.)

발표자 : 맨디언트 오 진석 전무 ​ ​

이 보고서는 맨디언트에서 발표한 보고서지만 맨디언트 고객이 아닌 일반 고객도 포함된 C 레벨, 보안 결정권이 있는 리더 1,350명을 대상으로 약 30개 이상의 문항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리포트한 내용입니다. (*이 중 JAPAC은 600명/ 한국은 100명의 응답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) ​ 글로벌 사이버 보안 위협 환경에서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이 보고서는 실제 기업의 사이버 보안 결정권자들이 어떻게 위협 정보를 인식하고 운영화하는지 보여주는 좋은 자료입니다. ​ ​





질문 1. 조직은 아래 공격 그룹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습니까?


라는 질문에 한국의 보안 조직 리더들은 아주 잘 준비되어 있다고 자신 있게 응답했습니다. 8~90%가 넘는 이 숫자들은 우리 조직은 어떤 공격 그룹도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자신감을 엿볼 수 있는 응답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. ​ 그런데 그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보면 이러한 자신감과 실제 기업의 현실은 꾀나 다르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 ​ ​



질문 2. 국가 공격이 발생할 경우 다음 중 귀사가 완전히 방어할 수 없는 국가는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?

​ 한국을 기준으로 봤을 때 중국과 이란이 가장 높았고, 러시아와 북한은 조금 낮게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50% 이상의 확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 우리는 '약 90%는 완벽히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다'라는 답변에 물음표가 생깁니다. ​ ​ ​


​ ​ ​

질문 3. 조직의 전반적인 위협에 대한 이해도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?


​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번 보겠습니다. 87% 한국 응답자들은 조직이 전반적인 위협에 대한 이해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. 다시 한번 첫 번째 응답과 대조해 보면 90% 정도는 잘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리더의 자신감에 반해 조직은 위협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, 중국과 이란의 공격은 완전히 방어할 수 없고 생각한다는 것인데. ​ 이러한 수치와 내용들은 설문 전반에 걸쳐 맞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​ 결과적으로 실제 많은 기업에서 위협 인텔리전스에 대한 고민은 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잘 모르고 있다는 결과를 유추해 볼 수 있겠습니다. 보안 팀은 자신들이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에 대응하기 어려워 진짜 위협을 놓치고 있고 충분히 숙련된 인력이 부족하거나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​





어떻게 해결하나요?

이때 맨디언트의 역할은 무엇일까요? ​ 테스트, 액션, 검증을 하는 사이클을 맨디언트와 함께 진행하게 되면 우리가 위협 인텔리전스 (Threat Intelligence)를 가지고 만들 수 있는 영역은 더 다양하다고 맨디언트는 말합니다. ​ 위협 프로파일링을 해서 우리가 상대하는 적이 누군지 알아내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가는 방법, 사이버 프로파일링을 할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 맨디언트는 아주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.




​ ​


3 views0 comments
bottom of page